백내장이란
혈액순환 문제로 인해 망막 혈관이 막히고 산소공급이 저하되어 망막 손상이 발생해 혈관에 출혈이 생기는 질병을 망막 혈관 폐쇄증이라고 합니다.

망막혈관폐쇄

‘눈에 생기는 중풍’ 이라고도 불리는 망막 혈관 질환은 망막동맥 폐쇄, 망막정맥 폐쇄, 안허혈증후군, 고혈압망막병증 등 다양한 형태로 발생합니다. 이 중, 혈액순환 문제로 인해 망막 혈관이 막히고 산소공급이 저하되어 망막 손상이 발생해 혈관에 출혈이 생기는 질병을 망막 혈관 폐쇄증이라고 합니다.

백내장안
백내장안

망막혈관폐쇄

망막혈관폐쇄 증상

  • 급격히 시력이 떨어진다.
  • 시야가 보였다 안보였다 하는 증상이 반복된다.
  • 사물이 찌그러져 보인다.
  • 눈앞에 먹구름이 낀 것처럼 깜깜해진다.
망막혈관폐쇄의 예방법은 매일 30분 이상 운동하고 음식은 최대한 싱겁게 먹으면서 혈압관리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스트레스로 인해 혈압이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제때 해소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분류 및 증상

망막 동맥 폐쇄

혈관이 폐쇄된 위치에 따라 망막중심동맥 폐쇄, 망막분지 동맥폐쇄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발생 원인이 불분명한 경우가 많으나 색전이나 혈전 등의 요인이 유발요인으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중심 동맥 폐쇄의 경우, 시력 예후가 좋지 않으며 전신질환으로 확산될 위험이 있습니다.

혈관폐쇄

망막중심동맥폐쇄가 발생하여 망막동맥이
매우 가늘어지고 후극부 망막이 혼탁해진 모습

망막정맥 폐쇄

혈관이 폐쇄된 위치에 따라 망막중심정맥 폐쇄, 망막분지 정맥폐쇄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으로 인해 정맥 폐쇄가 유발될 수 있습니다. 안과적 응급질환으로 구별되진 않으며 치료 예후도 좋은 편이지만, 질환 특성상 정맥이 서서히 좁아지기 때문에 빠른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시력저하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신질환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여 이에 대한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합니다.

혈관폐쇄

망막분지정맥폐쇄가 발생하여 망막정맥이
구불구불해지고 출혈이 동반된 모습

백내장이란
당뇨병에 의해 오랜 기간 고혈당에 노출된 망막의 미세혈관에 순환장애가 생기는 것으로, 초기에는 증상이 없다가 중심부의 침범이 일어나면서 시력 저하가 나타납니다.

진단방법

형광안저혈관조영, 인도시아닌그린혈관조영, 빛간섭단층촬영 등을 통해 다양한 망막혈관질환을 진단하게 되며 치료는 원인 질환에 따라 크게 약물치료, 안구내주입술, 레이저치료, 수술 등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망막혈관폐쇄 치료

망막 혈관 폐쇄 유발 원인에 따라 약물치료나 레이저 치료, 안구 내 주입술 등을 통해 치료합니다. 혈관의 분지가 아닌 중심이 폐쇄된 경우 심각한 시력 저하뿐만 아니라 합병증 또한 초래할 수 있으므로 빠른 치료가 필요합니다.

안구 내 주사치료

황반 부종 및 신생혈관 증식이 관찰되는 경우 안구 내에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또는 스테로이드를 주사합니다

레이저광응고술

망막 허혈 부위에 레이저광응고술을 시행합니다.

유리체 절제술

유리체출혈, 망막 전막 등의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유리체 절제술을 시행합니다.

‘세상을 빛나게 하는 호랑이 안과’